임산부에게 제공되는 혜택이 많은거 알고 계신가요?
먼저, 임신확인증을 발급받으시면 임신출산진료비 혜택이 있죠. 예전 고운맘카드라고 불리우는 제도에요.
단태아는 60만원, 다태아는 100만원을 지원해주는건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mightyknowledge.tistory.com/303
국민행복카드 임신바우처 등록하기 / 국민행복카드 잔액확인
병원에서 임신확인증을 받고,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아 수령하셨다면 이제 임신바우처를 등록해야합니다. 우리가 임신바우처라고 부르는, 임신1회당 단태아 60만원, 다태아 100만원 지원을 해주
mightyknowledge.tistory.com
이번 포스팅은 임산부 혜택 중 보건소에서 지원하는 혜택에 대해 적어볼께요.
임신을 확인할 수 있는 임신확인증을 발급받으셨다면 가지고 방문하시면 됩니다.^^
임산부혜택은 지자체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거주지 보건소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거나
방문하셔서 안내받으시는게 제일 정확합니다.
1. 임신축하금 지원
제가 살고있는 경기도 안양에서는 임신축하금으로 10만원을 지원해줍니다.
지역상품권으로 10만원을 주고요, 신청은 임신기간부터 출생신고 전까지 신청하셔야합니다.
신청일을 기준으로 3개월이상 안양시에 거주한 임산부에게 제공합니다.
지자체마다 지원대상이 다를수 있으니 체크해보시는게 좋을것 같아요.
2. 임산부 초기 혈액검사
임신초기에 혈액검사를 하게되는데, 병원에서 전부 다 진행하면 비용이 꽤 나오는걸로 알고있어요.
보건소에서는 '빈혈, B형간염, 풍진, 혈액형, 매독, 에이즈' 항목에 대해서 검사를 해줍니다.
보건소에서 진행한 혈액검사 결과지를 가지고 병원에 방문하면 중복되는 항목은 제외하고 혈액검사를 해요.
보건소에서 혈액검사를 받으면 몇만원 정도의 비용을 아끼실 수 있어요.
검사결과는 일주일 후 온라인으로 확인해볼수 있고, 직접 받으러 가셔도됩니다.
코로나로 인해 혈액검사를 운영하지 않는 기간이 있을수도 있으니 확인하시고 방문하세요.
3. 엽산제 지원
임신~임신 12주 이내에 방문하면 보건소에서 엽산제를 지원해줍니다.
4. 철분제 지원
임신 20주 이후부터 분만전 산모에게는 철분제도 지원해줍니다.
저는 아직 임신초기여서 20주 이후에 다시 방문해야해요.
5. 기형아검사 쿠폰 발급
기형아검사는 보건소에서 해주는건 아니고요.
의료기관에서 검사할 수 있는 쿠폰을 줍니다.
기형아검사는 1차, 2차 검사가 있는데 보건소에서 1차, 2차 모두 쿠폰을 발행해줍니다.
검사를 받을 의료기관을 정해야하고, 검사받을때에는 병원에 쿠폰을 제출하시면 됩니다.
6. 임산부 뱃지 제공
임산부 뱃지 다들 보신적 있으실거에요.
대중교통을 이용하신다면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을것 같아요.
저는 지하철로 출퇴근하기때문에 받아왔어요.
7. 출산교실, 산모교실 등
산모들을 위한 수업, 출산준비 동아리 등을 운영하는 보건소가 많더라고요.
안양에서는 20주~30주 임산부를 대상으로 출산준비동아리를 운영하고 있었어요.
하지만 요즘은 코로나때문에 운영하지 않는다고 해요.
코로나때문에 운영이 중지된 곳이 있을테니 지자체에 확인해보시면 좋을거같아요.
8. 무료 독감(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올해(2020년)부터 임산부도 무료로 독감(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은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보건소 및 예방접종 지정 의료기관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접종 기관 방문 시 필요 서류로는 ▲신분증 ▲산모 수첩 ▲고운맘카드 ▲임신확인서 ▲임신진단서 ▲의사소견서 등 입니다.
지차제마다 혜택은 조금씩 다를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겠어요.
좋은정보 되셨길 바랍니다.
그밖에도 마스크 3장과 마스크 스트랩도 선물로 주셨어요.
'정보이야기 > 정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감 예방접종 후 주의사항 / 독감 예방주사 부작용 증상 알아보기 (0) | 2020.10.21 |
---|---|
미세먼지측정기 얼마나 정확할까? 측정기 x 공기청정기 활용법 (0) | 2020.10.19 |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금 신청 방법, 신청 대상, 지원금액 총정리 (4) | 2020.10.13 |
소비쿠폰 지급시기 / 소비쿠폰 지급대상, 사용처 /정부 8대 소비쿠폰 (1) | 2020.10.13 |
사회적거리두기 1단계 기준 / 2단계와 달라진점은? (1) | 2020.10.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