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8월 25일은 음력 7월 7일로, 1년에 한번 헤어졌던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날인 '칠석'입니다.
흔히 칠월 칠석이라고 부르는 날이죠.
이 칠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견우와직녀 설화 '칠석'의 유래는?
견우와 직녀 설화에 대해 들어본적 있으실거에요.
이 견우직녀설화가 칠석의 유래가 되는 설화입니다.
견우직녀설화는 별자리에서 유래가 되었습니다.
하늘의 견우성과 직녀성 두 별이 음력 7월 7일인 '칠석'날에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매우 가까워진다고 합니다.
이를 본 옛날 사람들이 견우와 직녀 이야기를 만들었다고 전해집니다.
견우직녀 이야기를 해보자면,
옛날 하늘나라에 소를 돌보는 견우와 베를 짜는 직녀가 살았습니다.
견우와 직녀는 부지런히 자신의 일을 하며 살았습니다.
늦도록 서로 배필이 없음을 옥황상제가 안타깝게 여겨 서로를 이어주였죠.
그러나 결혼 이후 맡은 일은 하지 않고 놀기만하자 화가나 이 둘을 은하수 건너편에 떨어트려 만나지못하게 했습니다.
견우와 직녀는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서로를 그리워하며 지냈습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까치와 까마귀가 칠월 칠석날에 자신들의 몸으로 다리를 만들어 견우와 직녀를 만나게 도와주었습니다.
여기서 까치와 까마귀가 만든 다리가 '오작교' 입니다.
'칠석비'의 의미는?
음력 7월 7석은 여름장마의 끝무렵이자 더위가 줄어드는 시기입니다.
장마도 대개 거친 시기이나, 칠석날 전후로 비가 오는날이 많았습니다.
이를 보고 옛 사람들은 칠석날에 비가내리면 건우직녀가 만나서 흘리는 기쁨의 눈물이라고 여겼고,
칠석 다음날 비가 내리면 헤어짐을 슬퍼하는 이별의 눈물이라고 생각했답니다.
칠석날 내리는 비를 '칠석비'이라고 합니다.
칠석날 당일에 비가오면 풍년이 들것이라 예상해서 칠석에 오는 비를 매우 반겼다고 합니다.
'칠석'의 풍습은?
철석에는 장마의 끝무렵이라 습기로 인해 생기는 곰팡이를 막기위해서
책이나 옷 등을 햇볕에 말리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이때 잘 말려두면 책이 좀먹지 않고 겨울을 잘 보낼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조선시대 남자들은 견우와 직녀를 소재로 시를 짓기도 하고, 여인들은 직녀성에 소원을 빌기도 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호박이 잘 열리고, 오이와 참외가 많이 나올때입니다.
옛 풍습으로는 칠석에 호박부침을 만들어 칠성님께 빌었다고합니다.
'정보이야기 > 정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도소득세 면제조건 확인하세요 / 1가구 1주택, 1가구 2주택 (0) | 2020.08.28 |
---|---|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기준 / 3단계 발령시 조치사항(행동수칙) (0) | 2020.08.26 |
안양천길을 이용해 도보, 자전거로 안양예술공원(구 안양유원지) 가는 법 (0) | 2020.08.23 |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신청방법, 지원금액 총정리 (0) | 2020.08.23 |
덴탈마스크 앞뒤구분 하는법 / 일회용, 덴탈, 비말 마스크의 차이점 (0) | 2020.08.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