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캠핑 인구는 꾸준히 증가해 왔습니다. 최근에는 코로나19 여파로 차박, 캠핑, 글램핑 등 캠핑 관련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늘어나는 캠핑 인구만큼 안전한 캠핑을 위한 지식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겨울철 펜션 보일러 배기가스 누출, 캠핑 중 난방기구에 의한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인한 사망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모두 보다 안전한 캠핑을 즐기기 위해 일산화탄소 경보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 일산화탄소 경보기란?
연소 시 산소가 부족하거나 연소온도가 낮으면 완전연소가 일어나지 못하여 불완전 연소생성물인 일산화탄소(CO)가 생성됩니다. 불완전연소로 인한 일산화탄소를 감지하여 소리 등의 경보음을 울려주는 기기를 말합니다.
동절기 캠핑 시 밀폐된 공간(텐트 등)에서 난방기구를 사용할 시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 일산화탄소가 발생해 중독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밀폐된 공간에서 난방기구 사용에 주의하여야 하고 수시로 환기를 해야합니다. 혹시 모를 사고를 대비하기 위해 일산화탄소 경보기를 설치 해야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만약 경보가 울린다면 즉시 환기를 하고 외부로 대피를 해야겠죠?
○ 일산화탄소(CO) 농도와 호흡시간에 따른 중독 증상은?
일산화탄소의 발생원은 다양합니다. 불완전 연소가 발생할 수 있고 밀폐된 공간이라면 위험한 장소입니다.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이기 때문에 사람이 쉽게 인지를 못 합니다. 그래서 더 위험하죠. 연기나 타는 냄새라도 나면 사람이 인지를 하고 행동을 취할 수 있을겁니다. 그래서 일산화탄소가 무서운 겁니다.
일산화탄소에 중독되면 인체의 혈액에 있는 헤모글로빈(혈액소)과 급격히 반응하면서 산소의 순환을 방해해 생명을 잃을 수 있습니다.
CO농도(PPM) |
중독증상 |
50 |
영향 없음. 작업장 환경기준 허용농도 |
200 |
2~3시간 이내 두통, 피곤, 어지러움 |
400 |
1시간 이내 두통, 어지러움, 구토, 3시간 내 사망 |
800 |
20분 이내 두통, 어지러움, 구토, 1시간 내 사망 |
1600 |
10분 이내 두통, 어지러움, 구토, 30분 내 사망 |
3200 |
5분 이내 두통, 어지러움, 구토, 20분 내 사망 |
6400 |
2분 이내 두통, 어지러움, 구토, 10분내 사망 |
12800 |
3분 내에 사망 |
○ 일산화탄소 경보기 알람발생기준
일산화탄소 농도가 일정 농도/시간 감지 시 경보를 울립니다. 전기화확식(electrochemical)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전기화확식 센서는 내장된 전극의 작용에 의해 측정 대상 가스가 산화 또는 환원 반응을 일으킬 때 발생하는 전재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가스의 농도를 검지
CO농도(PPM) |
알람발생기준 |
30 |
120분 지속 시 |
50 |
60~90분 지속 시 |
100 |
10~40분 지속 시 |
300 |
3분 지속 시 |
※ 제품마다 설정값에 따라 다름
○ 설치 방법
1. 구획된 실마다 설치
2. 송풍구, 환기구 등에서 1.5M 떨어진 곳에 설치
3. 동계 캠핑 시 텐트 내, 밀폐된 공간에서 난방기기 사용 시 상층부 설치
밀폐된 공간에서 난방기기 사용 금지, 환기, 안전 점검 등을 통해 안전하게 동절기 캠핑하시기 바랍니다!
'정보이야기 > 정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감, 감기와 코로나 차이점은? 증상 순서 참고하세요 (0) | 2020.09.16 |
---|---|
경기도 청년면접수당 지원금액 / 신청기간은? (0) | 2020.09.15 |
어르신 폐렴구균 무료 예방접종 / 예방접종 의료기관 찾기 (0) | 2020.09.13 |
경기지역화폐 인센티브 / 20만원쓰면 5만원 더 / 경기지역화폐 신청방법 (0) | 2020.09.12 |
2차 재난지원금 신청방법, 선별지급, 지급대상, 지급시기 총정리 (0) | 2020.09.11 |
댓글